[섹션 0. 강의 소개 & 섹션 1. 프로젝트 환경설정] 프로젝트 생성 / 인프런 김영한 스프링 입문
처음으로 선택한 무료 강의는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입문 편!
평점이랑 후기가 좋아서
알고리즘 로직 짜는 것은 기본적인 것은 어느정도 구현이 가능한 수준이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스프링 프레임 워크에 대해서 현업에 쓰이는 트렌드라든지, 조금 더 깊게 공부가 필요할 것 같아서
무료 강의인 스프링 입문편을 수강하고
로드맵에 따라서 기본편까지 이미 구매를 해놓았다!ㅋㅋㅋㅋ
첫번째로 강의 소개 파트에서는 전반적인 강의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다!
강사님이 우아한 형제들의 기술 이사님이라고 하시니 배민 앱이 사용자도 많고, 물론 나도 종종 쓰는 편이니
많은 트래픽 처리 방법이라든지, 개발 최신 트렌드에 대해서 잘 설명해 주실것 같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현업에서 잘 안쓰이는 내용을 과감하게 빼신다고 하시니 그 부분을 좋다고 생각함
국비지원 교육을 하였을 때는, IDE는 이클립스를 사용했지만 이 강의에서는 이클립스도 사용해도 괜찮지만,
인텔리 제이(Intellij)를 추천하셔서 이번 기회에 다루는 툴의 폭을 넓히는 것도 또 다른 목표이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는데
적응이 좀 필요할 듯ㅋㅋㅋ
또 빌드 도구는, Maven은 사용해봤지만, Gradle이 요즘 많이 쓰인다고 하니 둘 다 써본 경험이 있으면 더 좋을 듯!
주의 사항!
스프링 부트는 Snapshot 버전 말고 정식 릴리즈 된 안정적인 최신버전을 적용하라고 해서 따라했는데
오류가 나서 당황;;;;
오류 메세지를 잘 읽어보니 Gradle이 Spring Boot랑 호환되는 버전이 없다고 한다!
Spring Boot 3.0.1은 Gradle이랑 호환되는 버전이 현재는 없는 듯하니(나중에 추가되겠죠..?)
2.7.7버전을 적용하면 된다!
그래서 그 이전 버전을 적용했더니 정상 작동~~
디펜던시에서는 웹 프로젝트로는 Spring Web과 Thymeleaf (타임리프)를 주입하였다!
타임리프는 처음 들어보는데 html 만드는 템플릿 엔진이라고 설명해 주심
Generate를 하고 인텔리제이에서 임포트를 마치고 나니
main 폴더에다가 +테스트 폴더 가 생성되었다!
요즘에는 이런 구성으로 대세여서 테스트 폴더에는 테스트 코드 관련된 소스들이 들어간다고 하심
그래서 테스트 코드가 요즘 개발 트렌드에서 중요!
스프링 서버로 실행을 했지만 기존에 깔려있던 오라클db 서버 포트랑 충돌나서(쓰는 포트번호가 같음ㅜㅜ 8080포트)
오라클db를 끄고 다시 실행하니 스프링 정상 작동~~!
뭔가 방향성을 잡고 더 배울게 생기니 동기부여가 된다!